쉬운 방법으로 계산 결과를 다시 적용하기

[shift] [STO][메뉴키]

5년간 연복리 7%의 이율로 14만원을 매달 입금하였다

만기 금액은 얼마인가?

그리고 만기된 금액을 (5년간, 7%이율) 예치시 5년 후의 만기금액은 얼마인가

키입력

화면

해설(한일석)

[SHIFT] [C]

0.00

모든 데이터를 지움니다.

5*12 [N]

60.00

5년간 매년12번의 횟수가 발생

7/12 [I/YR]

0.58

1년에 12번의 회당 이자율로 나누어 저장

140,000  [+/-][PMT]

-140,000.00

매달 입금하여야 하는 금액저장

[+/-]는 지출은[-] 유입은[+]라는 의미

[FV]

10,023,006.23

5년 만기시의 금액은?

[+/-] [SHIFT] [STO] [PV]

-10,023,006.23

금액을 5년간 예치하는 방법은

계산된 결과를 PV에 넣으면 됩니다.

하지만 그냥PV 누르면 저장이 되지 않고 기존에 계산되던 값이 나타납니다.

저장하는 방법은 좌측과 같이 STO키를 이용하면 PV에 저장 가능합니다. 굳이 다른데 결과를 적어놓거나 기억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0 [PMT]

0.00

PMT=0이 되어야하는데 기존의 값이 저장 되어 있으므로 O를 저장합니다.

5 [N]

5.00

5년을 복리기간에 저장합니다.

7 [I/YR]

7.00

이율도 새로 입력합니다.

기간과 이율을 다시 입력하는 것은 매달발생이아닌 년단위의 계산이기 때문입니다.

저장된[N][I/YR]값을 확인하는 방법은 [RCL][N]의 순서로 확인가능합니다.

[FV]

14,057,784.74

FV를 누름으로 모든 결과가 계산됩니다.

5년간 연복리 7%의 이율로 180만원을 매년 입금하였다

만기 금액은 얼마인가?

그리고 만기된 금액을 같은 조건으로 (5년간, 7%이율) 예치시 5년 후의 만기금액은 얼마인가

키입력

화면

해설(한일석)

[SHIFT] [C]

0.00

모든 데이터 지움

5[N]

5.00

기간 입력

7 [I/YR]

7.00

년이율입력

1,800,000  [+/-][PMT]

-1,800,000.00

매년 입금액 입력

[FV]

10,351,330.22

5년후의 금액 확인

[+/-][SHIFT] [STO] [PV]

-10,351,330.22

5년 예치를 계산하기 위해서

위의 금액을 현재가치로 입력

0 [PMT]

0.00

PMT에 저장된 값을 0으로 변경 저장

[N], [I/YR]값은 동일하므로 그대로 둡니다.

[FV]

14,518,276.11

예치후의 만기금액은?

 

 

+ Recent posts